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과 한국은 2012년부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대부분의 상품에서 관세를 없앴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손해 본다”는 이유로 관세 카드를 연이어 꺼내 들며 한국 기업들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1. 철강 수출 제한 (2018~2020년)
-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한국산 철강에는 관세 대신 수출 물량 제한(쿼터) 제도를 적용했습니다.
- 이는 한국 철강업계의 미국 수출 확대를 가로막는 장벽이 되었습니다.
📌 2. ‘해방의 날 관세’ 발표 (2025년 4월)
트럼프는 두 번째 임기에서 더 강력한 조치를 꺼내들었습니다.
-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 부과
- 한국 포함 일부 국가에는 추가 25% 관세 지정
즉, 한국 제품이 미국에 들어가면 최대 35% 관세가 붙을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 3. 협상 타결 – 15% 관세로 조정 (2025년 7월)
- 한국 정부는 강력히 대응했고, 결국 미국과의 협상 끝에 15% 관세로 낮추는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 대신 한국 기업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늘리겠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 이는 단순한 관세 협상이라기보다 투자·무역 패키지 딜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 4. 경제적 파급 효과
- 일부 품목은 여전히 면제·유예 조치가 적용 중입니다.
- 한국은행은 관세 충격으로 한국의 GDP 성장률이 약 0.5%p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주요 수출 업종은 관세 부담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 대상 관세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 정치적 협상 카드이자
- 투자와 무역을 엮은 패키지 딜,
- 한국 경제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였습니다.
앞으로 한국 기업과 정부는 단순히 관세 인하 협상에 머무르지 않고, 공급망 전략·투자 다변화·FTA 보완 협상까지 고려하는 종합 대응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To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미 ‘3,500억달러’ 공방 핵심 정리: 관세·투자·통화스와프, APEC 앞 ‘설계전’ (0) | 2025.09.26 |
---|---|
애국가에 숨겨진 역사와 감동: 알수록 더 자랑스러운 노래 (0) | 2025.09.26 |
미국 국가 'The Star-Spangled Banner' 속에 숨겨진 역사와 감동 (소향 라이브 포함) (0) | 2025.09.26 |
상생페이백, 지역경제를 살리는 착한 소비 혁신 (0) | 2025.09.25 |
카카오톡 대격변, ‘업데이트 하지 마라’ 역풍의 속사정과 6가지 주요 개편 내용 (0) | 2025.09.24 |
카카오톡 채팅탭 속 ChatGPT, 왜 주목해야 할까? (0) | 2025.09.23 |
울주군에 살면 좋은 5가지: 바다·산·일출부터 광역 생활권까지 (0) | 2025.09.23 |
로또 당첨금 마감: 지급개시일 + 1년 (0) | 2025.09.23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