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과 한국은 2012년부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대부분의 상품에서 관세를 없앴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손해 본다”는 이유로 관세 카드를 연이어 꺼내 들며 한국 기업들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 1. 철강 수출 제한 (2018~2020년)

  •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한국산 철강에는 관세 대신 수출 물량 제한(쿼터) 제도를 적용했습니다.
  • 이는 한국 철강업계의 미국 수출 확대를 가로막는 장벽이 되었습니다.

📌 2. ‘해방의 날 관세’ 발표 (2025년 4월)

트럼프는 두 번째 임기에서 더 강력한 조치를 꺼내들었습니다.

  •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 부과
  • 한국 포함 일부 국가에는 추가 25% 관세 지정

즉, 한국 제품이 미국에 들어가면 최대 35% 관세가 붙을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 3. 협상 타결 – 15% 관세로 조정 (2025년 7월)

  • 한국 정부는 강력히 대응했고, 결국 미국과의 협상 끝에 15% 관세로 낮추는 합의를 이끌어냈습니다.
  • 대신 한국 기업이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미국산 에너지 수입을 늘리겠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
  • 이는 단순한 관세 협상이라기보다 투자·무역 패키지 딜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 4. 경제적 파급 효과

  • 일부 품목은 여전히 면제·유예 조치가 적용 중입니다.
  • 한국은행은 관세 충격으로 한국의 GDP 성장률이 약 0.5%p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자동차·철강·석유화학 등 주요 수출 업종은 관세 부담으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결론

트럼프 행정부의 한국 대상 관세는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라,

  • 정치적 협상 카드이자
  • 투자와 무역을 엮은 패키지 딜,
  • 한국 경제에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였습니다.

앞으로 한국 기업과 정부는 단순히 관세 인하 협상에 머무르지 않고, 공급망 전략·투자 다변화·FTA 보완 협상까지 고려하는 종합 대응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