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임 기간 중 단행한 고율 관세 정책은 미국 국내 산업 보호라는 명분 아래 전 세계 무역 질서에 큰 충격을 안겼다. 특히 중국, 유럽, 캐나다, 멕시코, 한국 등 주요 무역국에 대해 일방적인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제 분쟁이 다수 발생했고, 미국 내에서도 관세 부과의 법적 정당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졌다. 일부 연방법원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의회의 권한을 침해했거나 절차적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하면서, 관세 자체가 불법이라는 주장이 점점 구체화되었다. 이 글에서는 트럼프 관세의 법적 쟁점, 위헌 논란, 주요 판례, 그리고 국제 사회의 반응까지 종합적으로 다룬다.
1️⃣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무엇이었나?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부터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의 일환으로 보호무역주의를 본격화했다.
대표적인 조치는 다음과 같다:
섹션 232 관세 |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
섹션 301 관세 |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대응 명목으로 수천억 달러 규모 상품에 관세 부과 |
세이프가드 조치 | 태양광 패널, 세탁기 등 특정 품목에 일시적 고율 관세 부과 |
2️⃣ 트럼프 관세의 법적 근거는 무엇이었나?
트럼프 대통령은 대부분의 관세 조치를 무역확장법(Trade Expansion Act) 섹션 232 또는 무역법 섹션 301에 기반해 단행했다.
하지만 이 법들은 대통령에게 과도한 권한을 부여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 주요 법적 쟁점:
- 의회의 입법 권한 침해: 헌법상 관세는 입법부(의회)의 권한이지만, 트럼프는 행정명령만으로 시행
- 절차적 하자: 행정부 내 무역조사 절차의 공정성 부족
지나친 권한 위임: ‘국가안보’를 이유로 한 과도한 해석
3️⃣ 미국 내 법원 판결: 불법 판단이 있었는가?
미국 내 일부 기업과 무역단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고, 일부 사안에 대해 법원이 위법 판단을 내렸다.
🏛️ 예시: USP Holdings, Inc. v. United States (2021)
- 내용: 대통령이 섹션 232에 따라 철강 관세를 부과한 후, 일부 국가에만 추가 조정을 하자 위헌 소송 제기
- 판결: 법원은 "대통령이 법에서 부여된 권한을 넘어서서 조치했다"고 판단
🏛️ Americ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eel v. United States (2019)
- 내용: 철강 관세가 위헌이라는 주장
- 판결: 대통령 권한 인정 → 그러나 대법원에 상고되며 논쟁 지속
📌 결론: 일부 법원은 트럼프의 관세 조치가 권한 남용에 해당한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렸지만, 미국 대법원이 아직 최종 결론을 내리지 않음.
4️⃣ 국제 사회의 반응과 WTO 제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를 비롯한 국제 사회의 반발도 컸다.
🌐 WTO 판정 사례
- 2022년, WTO는 트럼프의 중국에 대한 관세(섹션 301)가 국제 규범 위반이라고 판정
-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대해서도 캐나다, 유럽, 중국 등이 제소
하지만 미국은 WTO 판결을 무시하고 이행하지 않음, 이에 따라 WTO 체제 자체가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함.
5️⃣ 트럼프 관세의 실질적 영향
무역 비용 | 미국 기업의 원자재 비용 급등, 제조업 피해 |
소비자 물가 | 가전, 철강 제품 가격 상승 → 인플레이션 자극 |
글로벌 공급망 | 중국산 부품 회피 위한 공급망 재편 가속 |
보복 관세 | 중국, 유럽 등 주요국의 보복 조치로 미국 수출 산업 피해 |
🧾 결론: 불법이라는 판단보다 중요한 건 '결과'였다
트럼프 관세가 법적으로 ‘완전히 불법’으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많은 법률가와 전문가들은 헌법상 권한 침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이 조치들이 실제로 미국과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법률 논쟁을 넘어서, 글로벌 무역 질서와 국제 통상 규범에 심대한 균열을 일으켰고, 오늘날에도 그 후유증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무역 왕초보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코텀즈 FCA·CPT·DAP (15) | 2025.08.25 |
---|